우리나라는 기후・계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농경 위주의 생활을 하고 세시가 뚜렷하므로 세시풍속이 발달하였다. 다달이 있는 명절에 차려먹는 음식을 절식(節食), 계절마다 신선한 재료로 만들어 먹는 음식을 시식(時食)이라 한다. 설날, 정월대보름, 중화절, 삼월 삼짇날, 사월 초파일, 단오, 유두일, 삼복, 칠석, 추석, 중양절, 시월 무오일, 동지, 납일 등 절기 때마다 음식을 만들어 즐겼다. 절식과 시식에는 각 계절의 식품을 사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음으로써 재앙을 예방하고, 몸을 보양하며, 조상을 숭배하고자 하였다. 지금도 흔히 먹는 대표적 절식과 시식에 대해 알아보자.
월 | 명절 및 절후 | 음식의 종류 |
---|---|---|
1월 | 설날 | 떡국, 만두, 편육, 전유어, 육회, 느름적, 떡찜, 잡채, 배추김치, 장김치, 약식, 정과, 강정, 식혜, 수정과 |
대보름 | 오곡밥, 김구이, 9가지 나물, 약식, 유밀과, 원소병, 부름, 나박김치 | |
2월 | 중화절 | 약주, 생실과(밤・대추・건시), 포(육포・어포), 절편, 유밀과 |
3월 | 삼짇날 (성묘일) | 약주, 생실과(밤・대추・건시), 포(육포・어포), 절편, 진달래 화전, 조기면, 탕평채, 화면, 진달래 화채 |
봄철시식 | 약밥, 떡국, 나박김치, 미나리강회, 송편, 두견화 화채, 쑥떡, 조개탕, 탕평채, 수란, 화전 | |
4월 | 초파일 (석가탄신일) | 느티떡, 쑥떡, 국화전, 양색 주악, 생실과, 화채(가련수정과, 순채, 책면), 웅어회 또는 도미회, 미나리강회, 도미찜 |
5월 | 단오 | 증편, 수리치떡, 생실과, 앵두편, 앵두화채, 제호탕, 준치 만두, 준치국 |
6월 | 유두(6월 6일) | 편수, 깻국, 어선, 어채, 구절판, 밀쌈, 생실과, 화전, 복분자 화채, 보리수단, 떡수단 |
여름철 시식 | 느티떡, 어채, 어만두, 도미국, 앵두, 살구, 포도, 참외, 수박, 증편, 개피떡, 영계찜, 수리치떡, 제호탕, 보리수단, 수교의, 절편, 밀전병, 밀말이, 밀국수, 호박전 | |
7월 | 칠석(7월 7일) | 깨찰편, 밀설기, 주악, 규아상, 흰 떡국, 깻국탕, 영계찜, 어채, 참외, 열무김치 |
삼복 시식 | 육개장, 잉어구이, 오이소박이, 증편, 복숭아화채, 구장, 복죽 | |
8월 | 한가위(8월 보름) | 토란탕, 가리찜(닭찜), 송이 산적, 잡채, 햅쌀밥, 김구이, 나물, 생실과, 송편, 밤단자, 배화채, 배숙 |
9월 | 중양절(9월 9일) | 감국전, 밤단자, 화채(유자・배), 생실과, 국화주 |
가을철 시식 | 국화전, 화채, 강정, 엿, 팥경단, 밤경단, 인절미, 각색 실과, 붉은 팥떡, 토란국, 오려송편, 무시루떡, 호박시루떡 | |
10월 | 무오일 | 무시루떡, 감국전, 무오병, 유자 화채, 생실과 |
11월 | 동지 | 팥죽, 동치미, 생실과, 경단, 식혜, 수정과, 전약 |
12월 | 그믐 | 골무병, 주악, 정과, 잡과, 식혜, 수정과, 떡국, 만두, 골동반, 완자탕, 갖은 전골, 장김치 |
겨울철 시식 | 동지팥죽, 비빔국수, 냉면, 동치미, 연시, 수정과, 상치, 참새구이 |
글. 이선영 /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글. 이선영 /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행하는 의식을 통과의례(通過儀禮)라 하고, 음식을 갖추어서 의례를 지킨다. 즉, 탄생, 삼칠일, 백일, 돌, 관례, 혼례, 회갑, 회혼례, 상례, 제례 등을 거치게 되는데, 그때마다 특별한 상차림이 있다. 현재까지도 우리 식생활에서 차려지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상차림이 있다.
글. 이선영 /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기본은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이 기본요인으로 영향을 준 것이다. 먼저 주요 식량이 쌀인 것은 우리나라의 토양과 기온, 강수량 등 자연이 벼농사를 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지가 많고 기온과 강수량이 전국적으로 고르지 못하므로 벼농사가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각각 풍토에 따라 조, 기장, 보리 등 잡곡농사를 하였다. 이와 같은 결합재배의 환경에서 우리의 주식문화는 쌀과 잡곡 혼용음식의 특징을 갖는다.
한편, 산지가 많아 광활한 목축경영은 불가능하였지만 대두의 원산지에 근접했으므로 일찍부터 콩을 재배하여 콩 가공품이 발달하였고, 해면이 많아 어패류가 다양하였으므로 젓갈과 건물 등으로 가공하여 곡물음식에 부족한 단백질 급원음식으로 함으로써 국민영양의 균형을 꾀할 수 있었다. 특히 겨울의 추위에 대비해서 개발한 김장김치가 비타민 보유에 좋은 음식으로 발전하여 오늘날에는 세계화할 수 있는 채소발효 식품으로 선호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 음식문화의 기본은 우리 강토의 풍토와 결부된 것인데, 우리나라의 자연환경과 식생활 문화의 관계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글. 이선영 /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